
경제에 새로운 방법이 도입되어 획기적인 새로운 국면이 나타나는 현상. J.A.슘페터의 경제발전론의 중심 개념으로, 생산을 확대하기 위하여 노동ㆍ토지 등의 생산요소의 편성을 변화시키거나 새로운 생산요소를 도입하는 기업가의 행위를 말한다. 기술혁신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나 혁신은 생산기술의 변화만이 아니라 신시장이나 신제품의 개발, 신자원의 획득, 생산조직의 개선 또는 신제도의 도입 등도 포함하는 보다 넓은 개념이다.-슘페터는 ① 소비자 사이에는 아직 충분히 알려져 있지 않은 재화 또는 새로운 품질의 재화의 제조 ② 그 산업부문에서 아직 알려져 있지 않은 생산방법의 도입(상품의 상업적 취급의 새 방법도 포함), 새 판로의 개척 ③ 원료 또는 반제품의 새로운 공급원의 획득 ④ 신조직의 달성 등을 혁신이라 보았다. 그는 또한 이윤이란 것은 혁신을 하는 사람에게 주어지는 보수라 주장했고, 혁신이 투자수요나 소비수요를 자극해 경제에 새로운 호황국면(好況局面)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경제발전의 가장 주도적인 요인이라고 주장했다.

